loading
본문 바로가기
728x90
SMALL

전체 글267

통시적 공시적 정의 및 예시 수능국어 중등국어 총정리 국어 문법 통시적 공시적 정의 및 예시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고 국어 문법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통시적 정의 - 한 대상의 변천과정등을 시간에 흐름에 따라 보는 것입니다. 통시적은 여러시간을 걸쳐 현상 특징과 관련된 것을 가르키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국어 현상 특징파악하는 것 통시적예시 - 사람들의 사회적현상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달라고지고 있나? - 한국사에서 현대까지 이르기까지 어떻게 변화였나? - '대구'라는 단어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 우리나라 김치는 광복이후 얼마나 변화가 되었는가? 공시적 정의 - 특정한 무엇가가 특정한 시대에 어떤 영향을 띠었는가 역사적 고찰하는것 어떠한 한 시기의 현상만 보는 것으로 통시적은 전반적으로 시대를 아우르는 것이다. 공시적예시 - 고대 식습관.. 2023. 8. 26.
대유법 예시(제유법 환유법) 설의법 설의적 정의 국어 문법 국어 문법중에 흔하지 않은 대유법 제유법 설의법 환유법에 대하여 하나씩 정의와 예시에 관하여 알아봅시다. 설의법에 관하여 '누구나 다아는 사실 짐짓 의문형식 제시 독자가 스스로 결론을 내리는 것 설의적이라는 말로도 쓰임' 수사적 의문이라고도 하는 설의적 설의법은 평서문보다 강의적 감정적 수사적 의문문이므로 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독자가 단정을 내리하는 여유를 주어 뜻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어려우니 예시를 들어 이해 하면 좋을듯 하네요 설의적(설의법) 예시 이런 기적이 또 어디 있겠는가 그야말로 용감한 청년이 아닌가? 공든 탑이 무너지랴 내 같은 처지를 누가 알려나 누가 구를 한 자락 없이 맑은/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대유법에 관하여 '사물의 한 부분이나 특징을 그 자체 전체를 나타내는 수사법이다' 대유법.. 2023. 8. 26.
영탄적 어조 영탄법 정의 및 예문 국어 문법 국어 문법 학생때 많이 공부하신분들이라도 오래 되어 잊어버린 분들이 맞으셨을꺼에요 그리고 현재 학생들은 영탄적 어조 영탄법 국어 문법에 관하여 어렵게 느껴 지게 때문에 문법 공부를 하나씩 공부하면 좋을 듯 하네요 영탄적 어조란 '감탄사등을 이용해 화자의 감정 드러내는 것' 영탄법은 기쁨 슬픔 감동 감정을 강조하는 국어 문법입니다. 고조된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 감탄의 형태로 표현하는 문법입니다. 호격조사 '아,야,이여' , 감탄사'아,오,아아', 감탄형 종결어미 '-아라/-어라,-구나' 를 사용하여 강하게 화자의 감정을 드러냄 영탄법 예시 알아보자. 1. 아아 묶인 나의 가슴 2. 봄이 왔네, 봄빛이 왔네 버드나무 끝에도 실가지에 3.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국립 국어원 영탄법.. 2023. 8. 25.
4음보, 3음보 음보 나누는기준 정의 및 예시 총정리 음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국어시간에 4음보 3음보 라는 말은 한번쯤은 들어 보셨을수도 있고 까먹고 잊혀진 분들도 책을 읽으면서 나오는 단어이기에 가물가물한 이시점에 꼭 되짚어 보고 넘어 가면 좋을 듯 하네요 음보란? 끊어 읽는 말의 단위 시에서 운율을 이루는 기본 단위 입니다. 3음절이나 4음절이 한 음보를 이룹니다. 운율을 이루는 기본 단위로 강음절 약음절이 한 음보를 이룹니다. 여기서 운율은 시에서 악센트가 있는 음절을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배열함 3음보 4음보 예시 3음보 - 김소월 진달래꽃 나 보기가/역겨워/가실 때에는 죽어도/아니 눈물/흘리오리다 - 이육사 광야 까마득한 날에/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디 닭 우는 소리들려으랴. 4음보 - 정몽주 단심가 이 몸이/죽고 죽어/일백 번/고쳐 죽어 백골이/.. 2023. 8. 24.
용비어천가 해석 125장 분석 뜻 1장, 2장 용비어천가는 한국사나 국어 시간에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꺼에요 하지만 정확하게 이름만 알지 정확하게 어떤건지는 모르는 분들이 많으실꺼에요 그래서 어떤 것들이 함께 알아보아요 용비어천가 뜻 조선 초기 세종 27년 편찬되어 세종 29년 발간된 악장, 서사시 조선시대 네번째 왕인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만들고 난 후에 시험하기 위해 정인지, 권제, 안지 등에게 맡겨 펴낸책입니다. 훈민정음 쓰인 최초 책이며 제목이 용(임금)이 날아올라 하늘을 다스린다 뜻이다. 1447년 초간 초쇄본 1권,2권 1책만 남아있어요 뿌리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은 교과서 등에 나오는데 용비어천가의 노래 중 유일하게 비유와 상징 등 문학적 구성을 갖추었습니다.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뿌리깊은 나무 등을 보셨다면 용비어천가 시리즈에 나온 제목.. 2023. 8. 23.
조선시대 평균수명 신분별장수 서민나이 알아보기 조선시대 평균수명 아시나요 현대 사회 보다는 짧은 것들은 아시지만 정확하게 수명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 보는시간을 가져 볼께요 서민부터 왕까지의 역대 평균수명들을 하나씩 알아봅시다. 한국 현대인 평균수명 알아보기 왕 평균수명 왕은 잘먹고 했기 때문에 평균수명이 매우 길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왕의 평균 수명은 46세까지 인걸로 나와 있습니다. 조선시대 영조처럼 오래 산 왕도 있습니다. 영조는 83세까지 살아온 왕도 있고 단종처럼 죽음을 당하는 왕도 있기에 평균은 46세라는 사실을 알 수가 있습니다. 서민 평균수명 백성들은 잘 못먹고 병균에 취약하기에 왕보다는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 생각했기에 얼마 못 살것이라는 생각하였기에 평균 35세라고 합니다. 조선시대는 의학적으로나 음식등 위생등도 몸을 위협하.. 2023. 8. 23.
728x90
LIST